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학습하여,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문성을 습득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이념과 철학, 가치와 윤리, 서구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소개, 사회복지실천 대상 및 문제의 개관과 함께 이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파악한다. 또한 접수 및 자료수집, 사정, 계획수립, 개입, 종결 및 평가의 사회복지실천의 일련의 과정에 대해 학습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통합적 접근 및 사례관리 실천 방법을 이해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기초로, 이후에 사회복지사로서 클라이언트를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수한 상황에서 적절한 실천기술 및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교과목은 전문적인 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학습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전문성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구와 우리나라 사회복지 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에 대해 배우고, 사회복지 실천에 영향을 끼치는 실천이념과 철학을 이해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로서 함양해야 할 윤리의식의 고양을 위해 사회복지실천의 윤리와 가치에 대해 학습하며,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배운다.
통합적 접근 및 사례관리 실천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로서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실천기술 및 기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사회복지 실천면접의 목적과 종류 및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면접의 주요기술과 면접을 기록하는 유형을 습득하여 효과적인 면접방법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사회복지실천과정을 접수, 자료수집, 사정, 계획과 개입 그리고 평가와 종결 단계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수업목표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