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개요

사회복지조사방법에 관한 기본개념과 기초이론을 학습하는 사회복지기초과목으로,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을 학습하여 사회복지조사의 실제 수행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목에서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조사방법론을 학습한다. 조사방법의 기초지식으로 조사방법의 기본개념, 형태와 절차 등을 다루고, 양적조사방법으로 척도구성 및 질문지 작성,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표본추출 등 사회조사의 설계와 설문지조사, 면접조사, 실험, 관찰 등 자료수집방법을 다룬다. 질적조사방법으로 조사 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과 실제로 일정 주제에 대해 직접 조사 설계를 하여 사회복지조사연구의 전 과정을 경험한다. 사회복지조사연구방법에 관한 기본 지식을 습득하여 향후 사회복지현장에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실무를 담당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다.

과정목표

  1. 과학과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증거 기반의 실천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 사회복지조사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사회복지조사의 방법에 대한 기본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4. 조사설계의 다양한 방법을 열거하고, 각 조사설계가 갖는 장단점을 구분하여 그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5. 조사설계의 원리와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을 이해하고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6.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의 유형과 각 유형별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7. 실천현장에서 자주 활용되는 조사방법 중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 조사의 목적과 필요를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다.
  8. 연구의 자료수집과 분석방법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 자료분석 방법을 구조화할 수 있다.
  9. 사회복지 연구자로서 인식해야할 실천 현장에서의 연구윤리의 책임과 쟁점을 설명할 수 있다.
  10. 연구보고서 작성법을 숙지하고, 연구논문에 대한 리뷰를 통해 각 사회복지조사 방법론을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